미국 '배드파더스'는 운전, 의사면허 다 뺏긴다…한국은?(머니투데이) |
---|
등록일2020.01.16 |
조회수17551 |
미국 '배드파더스'는 운전, 의사면허 다 뺏긴다…한국은?(`20.01.16. 머니투데이, 한고은,유하은기자)
그러나 구멍은 많다. 양육비 미지급자가 재산을 다른 사람 명의로 이전하거나, 이행 명령이 내려져도 감치를 당하지 않을 정도로만 양육비를 지급하는 경우 마땅한 대책이 없다. 20대 국회에서는 양육비 지급 이행 강화와 관련된 법안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다수 발의됐다. 운전 면허 제한, 출국 금지, 명단 공개, 형사 처벌 등을 제안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모두 통과되지 못했다. 경찰청, 법무부 등 관계부처가 반대의견을 내고 있기 때문이다. 여가부 관계자는 "운전면허 정지 처분의 경우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을 위반할 수 있어 추후 위헌 소송이 제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고, 출금이나 명단공개는 (양육비 미지급이) 형사처벌 대상으로 규정되는 경우 가능하지만 법무부 등이 양육비 분쟁을 사인 간 채무로 보고 있기 때문에 개입에 신중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대법원은 1994년 "부모는 자녀를 공동으로 양육할 책임이 있고, 양육에 소요되는 비용도 원칙적으로 부모가 공동으로 부담해야 한다"며 "부모 중 누가 친권을 행사하는 자인지 또는 누가 양육권자이고 현실로 양육하고 있는 자인지 물을 것 없이 친자관계의 본질로부터 발생하는 의무"라고 판단했다. 2018년 여가부 실태조사에서 한부모가족은 양육비 이행률을 높이기 위해 시급한 과제로 △양육비 긴급 지원 확대(48.5%) △미이행자 처벌 강화(29.9%) △양육비 이행관리원 역할 강화(20.1%) 등을 꼽았다. 2015년 실태조사에서는 미이행자 처벌 강화 답변이 세번째로 많았는데, 2018년 조사에서는 두번째로 높아졌다.
여가부 관계자는 "이번 배드파더스 판결을 계기로 양육비 미지급 문제가 공론화되면서 형사처벌 등 미지급자에 대한 처벌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모아지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이정옥 장관 "배드파더스 판결 의미 커…양육은 사회적 책임" (뉴스1) |
---|---|
다음글 |
판결 비웃듯 '양육비 나 몰라라'…외국은 징역형(SBS)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평균 4.9점 /269명 참여]